맨위로가기

HD 14751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D 147513은 큰곰자리 방향에 있는 이중성계로, 주성과 백색 왜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성 HD 147513 A는 황색 주계열성이며, 백색 왜성인 HD 147513 B는 주성에서 멀리 떨어져 공전하고 있다. HD 147513 A는 바륨 왜성이며, 외계 행성 HD 147513 b를 거느리고 있다. HD 147513 b는 목성형 가스 행성으로, 주성의 생물권 내에서 공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G형 주계열성 - 뱀자리 람다
    뱀자리 람다는 태양 질량의 약 2.7배인 분광형 A2V 주계열성으로, 외계 행성 람다 뱀자리 b를 거느리고 있으며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외계 행성계로 확인되었다.
  • G형 주계열성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HD 147513
기본 정보
HD 147513 주변 시야
HD 147513 주변 시야
별자리전갈자리
별 이름62 G. Sco, CD-38° 10983, CPD-38° 6407, FK5 3295, GC 22030, Gl 620.1, HIP 80337, HR 6094, SAO 207622, Wo 9559
고유 명칭HR 6094
ARICNS4c01292
관측 정보
시대J2000.0
적경16h 24m 01.28927s
적위-39° 11' 34.7121"
겉보기 등급5.38
변광성 여부의심됨
특징
분광형G1VH-04
U-B 색 지수+0.00
B-V 색 지수+0.62
천체 측정
시선 속도+12.6 km/s
고유 운동 (적경)71.89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5.26 밀리초/년
시차78.26
시차 오차0.37
절대 등급4.82
물리적 특징
질량1.11 태양질량
반지름1.0 태양반지름
광도0.98 태양광도
표면 온도5,855 K
금속 함량 (철)0.03 (태양 대비)
자전 속도0.32 km/s
자전 주기4.7 일
표면 중력4.50
나이400 백만 년
기타 명칭
기타 명칭62 G. Sco, CD-38° 10983, CPD-38° 6407, FK5 3295, GC 22030, Gl 620.1, HIP 80337, HR 6094, SAO 207622, Wo 9559
항성 정보 (추가 정보)
겉보기 등급 (추가)+5.39/+11.00
거리42 광년(12.9 파섹)
분광형 (추가)G3 ~ G5V (황색 왜성)/DA2VII (백색 왜성)
광도 (추가)1.01/0.006
질량 (추가)0.92/0.65
크기 (추가)1.08/?
절대 등급 (추가)+4.84/?

2. 항성계

HD 147513은 주성인 G형 주계열성과 백색 왜성 동반성(CD-38° 10980)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주성은 태양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지만, s-과정 원소가 풍부한 바륨 별의 특징을 보인다. 이는 동반성이 과거 점근 거성가지 단계에 있을 때 주성으로 물질을 이동시킨 결과로 추정된다.

두 별은 약 4,410 AU (다른 연구에서는 약 5,360 AU) 떨어져 있으며, 공통된 고유 운동을 공유한다. 이 항성계는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같은 이동성단의 일원인 오리온자리 χ1성과 과거 사중성계를 형성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002년 제네바 외계 행성 탐사팀은 이 항성계에서 외계 행성 HD 147513 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스 행성은 질량이 목성의 1.21배 이상이며, 약 528일의 주기로 주성을 공전한다. 행성의 궤도 대부분은 주성의 생물권 내에 위치하지만, 이심률이 다소 높아(0.26)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2. 1. 주성 (HD 147513 A)

이 별은 태양과 비슷한 황색 주계열성으로, 별의 분류는 G1VH-04이다. 질량은 태양보다 약 11% 더 크며, 나이는 약 4억 년으로 추정되는 비교적 젊은 별이다. 이 때문에 질량이 더 큼에도 불구하고 광도는 태양과 거의 비슷하다. 원소의 풍부도는 태양과 유사하지만, s-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소들이 과다하게 풍부한 바륨 별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젊은 별답게 리튬이 풍부한 편이다. HD 147513은 변광성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

HD 147513은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구성원으로 여겨진다. 이 별은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데, 약 5.7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약 4,410AU에 해당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약 5,360 AU로 추정하기도 했다.) 동반성은 '''CD-38° 10980'''이라는 백색 왜성이다. 두 별은 같은 고유 운동을 공유하며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HD 147513이 보이는 바륨 별의 특징은 동반성이 백색 왜성이 되기 전 점근 거성가지 단계에서 HD 147513으로 물질 이동을 일으켜 표면 조성을 변화시킨 결과로 생각된다.

과거 HD 147513은 더 복잡한 다중성계의 일원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같은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이면서 조성이 비슷한 오리온자리 χ1성과는 약 3000만 년 전에 사중성계를 형성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2. 2. 동반성 (HD 147513 B)

HD 147513은 백색 왜성인 '''CD-38° 10980'''을 동반성으로 가진다. 이 동반성은 약 5.7 떨어져 있으며, 이는 연주시차로 계산했을 때 약 4410AU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CD-38° 10980은 DA형 백색 왜성이며, HD 147513과 고유 운동을 공유하며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HD 147513이 바륨과 s-과정 원소가 풍부한 바륨 별의 특징을 보이는 것은 이 동반성과의 상호작용 때문으로 여겨진다. 과거 CD-38° 10980이 점근 거성 단계에 있을 때 HD 147513으로 질량 이동이 일어나 현재와 같은 표면 조성을 가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쌍성계는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으로 생각된다. 또한, 같은 성단의 일원이면서 비슷한 조성을 가진 오리온자리 χ1성과 과거 약 3000만 년 전에 사중성계를 이루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행성계

2003년, 제네바 외계 행성 탐사팀은 라 실라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HD 147513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HD 147513 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8] 현재까지 이 항성계에서 발견된 유일한 행성이다.

3. 1. HD 147513 b

2003년, 제네바 외계 행성 탐사팀이 라 실라 천문대에서 시선 속도법 관측을 통해 HD 147513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HD 147513 b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HD 147513 b의 궤도 요소[8]
요소
질량> 1.21 MJ
공전 주기 (P)528.4 ± 6.3
장반경 (a)1.32 AU
이심률 (e)0.26 ± 0.05



궤도 요소를 기반으로 볼 때, 이 가스 행성의 궤도 대부분은 주성의 생물권 내에 있으며, 원지점에서만 이 영역 밖으로 벗어난다. 따라서 만약 가스 행성과 동기화된 방식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지구형 행성이 생물권 내에서 안정적인 궤도를 가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행성이 가스 행성의 L4 또는 L5 라그랑주 점 내에서 안정적으로 공전할 가능성이 있다.

4. 큰곰자리 이동성단

HD 147513은 우주 공간에서 같은 고유 운동을 공유하는 별들의 무리인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구성원이다. 이 별과 동반성 관계인 백색 왜성 CD-38° 10980 역시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으로 여겨진다. 또한, 같은 이동성단의 일원이면서 HD 147513과 화학적 조성이 매우 비슷한 오리온자리 χ1성과는 약 3000만 년 전에 사중 연성계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참조

[1] 서적 Palermo Catalogue G. Piazzi 1814
[2] 웹사이트 NSV 7680 -- Variable Star http://simbad.u-stra[...]
[3] 문서
[4] 웹사이트 HD 147513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8-02-10
[5] 논문 Spectroscopic Properties of Cool Stars (SPOCS). I. 1040 F, G, and K Dwarfs from Keck, Lick, and AAT Planet Search Programs 2005-07
[6] 논문 Structure and Evolution of Nearby Stars with Planets. II. Physical Properties of ~1000 Cool Stars from the SPOCS Catalog 2007-02
[7] 논문 Metallicity effects on the chromospheric activity-age relation for late-type dwarfs 1998-08
[8] 간행물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II. Orbital solutions for 16 extra-solar planets discovered with CORALIE 2004-02
[9] 간행물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2009-01
[10] 서적 Praecipuaram stellarum inerranthium positiones mediae ineunte saeculo 19. EX observationibus habilis in specula panormitana AB anno 1792 AD annum 1813 1814
[11] 간행물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1995-11
[12] 논문 Very Wide Binaries and Other Comoving Stellar Companions: A Bayesian Analysis of the Hipparcos Catalogue 2011-01
[13] 논문 HR 6094: A Young, Solar-Type, Solar-Metallicity Barium Dwarf Star 1997-02
[14] 논문 Stellar Kinematic Groups. II. A Reexamination of the Membership, Activity, and Age of the Ursa Major Group 20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